-
전자 회로를 설계할 때 흔히 간과되는 요소 중 하나가 바로 GND(Ground)입니다.
많은 입문자들이 GND를 단순히 ‘전원이 없는 곳’, 또는 ‘0V가 흐르는 곳’ 정도로 생각하지만, 실제 회로 설계에서는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GND는 단순한 접지가 아니라, 전류의 흐름이 돌아오는 경로이며, 신호 기준점이자 전체 회로의 안정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설계 요소입니다.
GND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회로를 구성하게 되면, 신호 간섭, 오작동, 노이즈 증가, EMI(전자파 간섭), 심지어 장비 손상까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CB 설계에서 GND의 역할, 그라운드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원칙, 실수 사례, 실무 팁까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GND란 무엇인가요?
GND(Ground)는 회로 내에서 전기적인 기준점(0V) 역할을 하는 전위입니다.
모든 전압은 이 GND를 기준으로 측정되며, 전류는 항상 ‘공급 → 부하 → GND 경로’로 흐릅니다.
즉, GND는 전류가 귀환하는 통로이며, 제대로 설계되어야만 전원과 신호가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GND는 단순한 ‘선’이 아니라, 회로 동작의 기준과 귀환 경로를 담당하는 핵심입니다.왜 GND 설계가 중요한가요?
GND를 무시하거나 적절히 배치하지 않으면, 회로에서 발생한 전류가 의도하지 않은 경로로 흐르게 되어 노이즈, EMI, 오동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회로와 아날로그 회로가 섞인 회로나, 고속 스위칭 회로에서는 GND 설계가 전체 동작의 안정성과 직결됩니다.
전원보다 GND가 더 중요하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PCB 설계 시 가장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GND는 단순히 연결만 하면 되는 게 아닙니다
회로도에서 모든 GND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물리적인 PCB에서는 경로에 따라 전위차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DC 입력 근처의 GND가 모터 드라이버 쪽 GND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면, 모터에서 발생한 고속 스위칭 노이즈가 ADC 측으로 유입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GND는 단순히 ‘모든 점을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전류의 경로를 고려한 배치와 분리 설계가 필요합니다.GND Plane을 넓게 사용하는 이유
PCB 설계에서는 보통 GND를 Plane(면)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넓은 GND Plane은 임피던스를 낮춰주고, 귀환 전류가 가장 짧은 경로로 흐를 수 있도록 도와주며,
노이즈 차단, 방열, EMI 감소 등의 효과도 있습니다.
특히 고속 디지털 회로나 RF 회로에서는 GND Plane의 품질이 신호 무결성(Signal Integrity)을 좌우하기도 합니다.아날로그 GND와 디지털 GND는 왜 나눌까?
아날로그 회로는 미세한 전압 변화를 다루기 때문에 노이즈에 매우 민감합니다.
반면 디지털 회로는 빠른 스위칭을 반복하면서 노이즈를 많이 발생시킵니다.
이 둘이 같은 GND Plane을 사용할 경우, 디지털에서 발생한 노이즈가 아날로그 회로로 유입되어 측정값이 틀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보통 아날로그 GND와 디지털 GND를 분리하여 설계한 뒤, 한 점에서만(스타 접지 방식) 연결하는 구조를 사용합니다.GND Loop는 왜 위험할까요?
GND를 잘못 연결하여 PCB 상에 루프(Loop)가 형성되면, 외부 전자기장이 그 루프를 따라 유도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 유도 전류는 의도하지 않은 전압을 만들어 회로를 오작동시키거나, 신호를 왜곡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PCB 설계 시 GND 경로를 루프 형태가 아닌, 항상 최단 거리로 흐르도록 배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센서 회로나 정밀 측정 회로에서 이 문제가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실무 설계팁 – GND 잘 쓰는 법
- 가능한 한 GND Plane은 단일 면으로 유지하고, 중간에 끊기거나 좁아지지 않도록 설계합니다.
- 고속 신호 라인은 반드시 그 아래쪽에 연속적인 GND Plane을 배치하여 귀환 전류 경로가 짧게 유지되도록 합니다.
- 커넥터, 외부 I/O, 센서 주변에는 전용 GND 패드나 필터링 부품을 사용해 노이즈를 차단합니다.
- 스위칭 전원이 있는 회로에서는 전원 GND와 신호 GND를 분리하고, 단일 포인트에서 연결하는 구조를 만듭니다.
- PCB 설계 시에는 항상 귀환 전류(Return Path)까지 시뮬레이션하거나 예상하며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GND 설계 실패 사례와 교훈
실제 현장에서 가장 자주 발생하는 GND 관련 문제 중 하나는 MCU가 오작동하거나 통신 오류가 반복되는 경우입니다.
이런 문제의 원인을 추적해보면, 의외로 단순한 GND 경로 설계 미흡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USB나 UART 통신이 간헐적으로 끊긴다거나, ADC 값이 튀는 문제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런 문제는 GND Plane이 끊겨 있거나, 고속 스위칭 라인 근처에서 귀환 전류가 제대로 흐르지 않아 발생합니다.
따라서 실제 보드 설계 시에는 단순히 ‘GND를 연결했다’가 아니라, ‘전류가 어떤 경로로 흘러가는지’를 회로도와 PCB에서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GND 설계는 단순 연결이 아니라, 전류 흐름을 설계하는 행위라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GND는 회로의 ‘보이지 않는 길’입니다
전류가 흐르는 길은 전원에서 시작해 GND로 돌아옵니다.
많은 엔지니어들이 전원 공급은 신경 쓰면서도, GND 경로는 쉽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 회로의 전기적 안정성과 신뢰성은 GND 설계를 얼마나 정교하게 했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전류의 흐름을 이해하고, 그 흐름이 최단 경로로 안전하게 돌아올 수 있게 만드는 것이 GND 설계의 핵심입니다.'Enginee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류 센싱 회로 설계법 – 저항으로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 (0) 2025.04.26 Analog 신호와 Digital 신호 – 차이점과 변환 방법 (ADC/DAC) (0) 2025.04.26 게이트 드라이버 IC란? – 파워 FET를 제어하는 핵심 부품 (0) 2025.04.26 DCDC 컨버터의 종류 – Buck, Boost, Buck-Boost 비교 정리 (0) 2025.04.26 반도체 초보자를 위한 전기 회로 기초 – Ohm의 법칙부터 (0) 2025.04.25 전압 강하를 막는 방법 – Power Path 설계 팁 (0) 2025.04.25 반도체 실무에 도움되는 공부법 (비전공자 포함) (0) 2025.04.25 엔지니어가 말하는 반도체 개발 실수 모음 (0) 2025.04.24